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페이지로 이동
자격증명신뢰기술, 메타버스 보안 등 정보보호 ITU-T 국제표준 우리나라 주도 개발
작성자 : misoko 작성일 : 2024-12-06 (금) 11: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유상임 장관, 이하 과기정통부)92일부터 96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의장: 순천향대 염흥열교수)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자격증명신뢰기술, 메타버스 보안 신규표준화아이템 4승인되었고, 도심형항공모빌리티 보안 등 국제표준 5사전채택, 차량용 에지 컴퓨팅 보안 등 국제표준 2 디지털 금융서비스 보안 등 부속서 3건이 최종승인 되었다고 밝혔다.

* 표준화 과정 : 신규표준화아이템 승인표준 개발표준 사전채택국제 회원국 회람표준 최종승인

 

이번 국제회의에는 전 세계 54개 회원국 330여명(·오프라인 병행)전문가가 참석하였고, 우리나라는 62여명의 전문가가 참가하여 국내 정보보호기술국제표준반영하기 위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우리나라는 동 회의에서 차기 연구회기(2025~2028)의 중점 기술로 지털배지 및 자격증명서에 활용될 수 있는 탈중앙 방식의 자격증명신뢰기술,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 아바타 개인정보 보호 기술, 산업용 사물인터넷 데이터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제조 보안,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발행되는 명세서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인보이스 보안 차세대 표준화 주제에 대한 신규 표준화 아이템 4건을 제안하여 승인을 받았다.

 

또한, 우리나라가 국내 산학연을 중심으로 다년간 주도적으로 개발해 온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 환경에서의 수직이착륙기체 보안 가이드라인 및 요구사항, 분산원장기술 기반 원타임 인증키 생성 프레임워크 5의 보안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사전채택되었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는 차량용 에지 컴퓨팅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 및 가이드라인, 온라인 분석 서비스용 참조 모니터 국제표준이 최종승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위한 보안 보증 3의 구현 관점에서의 부속서가 최종승인되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사이버보안 기술은 단일 국가에서 독자적인 방법으로 지능화된 사이버위협을 해결할 수 없고, 국가 간에 상호협력 및 공동대응에 활용될 수 있는 국제표준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디지털 강국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자격증명서, 메타버스 보안 기술 차세대 보안 표준 개발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